자폐 아이의 생각하는 방법
자폐 아이의 생각이 어떻게 다른지를 보여주는 짧은 글입니다. PDF파일을 다룬로드 해서 보실 수 있습니다. 이 내용은 ‘자폐 아이 언어 및 두뇌 발달 방법 교육 101’ 수업에서 사용하는 교재의 일부분입니다. 수강하시는 분들께는 무료로 나눠드리지만 그렇지 않은 분들은 PonderEd 서점(PonderEd 교육 자료실)에서… 더 보기 »자폐 아이의 생각하는 방법
PonderEd 저널
자폐 아이의 생각이 어떻게 다른지를 보여주는 짧은 글입니다. PDF파일을 다룬로드 해서 보실 수 있습니다. 이 내용은 ‘자폐 아이 언어 및 두뇌 발달 방법 교육 101’ 수업에서 사용하는 교재의 일부분입니다. 수강하시는 분들께는 무료로 나눠드리지만 그렇지 않은 분들은 PonderEd 서점(PonderEd 교육 자료실)에서… 더 보기 »자폐 아이의 생각하는 방법
PonderEd Education 이 글은 인간의 두뇌가 발달하는 과정과 교육의 현 주소에 대한 내용을 담았다. 각 단계별로 사고의 방법에 대한 차이를 인지하면 공부 방법과 함께 능동적인 두뇌 발달을 이룰 수 있다.
PonderEd Education 부모에게 자녀의 미래는 삶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한다. 또 자녀의 미래는 자녀의 두뇌 발달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에, 아이들의 두뇌 발달에도 관심이 있을 걸로 생각된다. 그런데, 많은 부모가 오해하고 있는 부분이 있다. 첫 번째는 바로 ‘훈육’을 통해 아이가 미래를 준비할 수 있다는 착각이다. 훈육은 개를… 더 보기 »내 아이의 두뇌 발달 망치는 법
정치인의 세계를 보면 말도 안 되는 소리를 해도, 법을 지키지 않아도 살아남는 사람이 꽤 있어 보인다. 과거 일제 강점기가 끝나도 살아남은 친일 행적을 가진 사람들이 있듯이 말이다. 왜 이런 일이 벌어질까? 왜 국민은 이런 정치인을 응원하며 표를 던지는 걸까? 그… 더 보기 »왜 정치인은 자기 말을 뒤집어도, 법을 어겨도 살아남는 걸까?
대승불교는 많은 중생을 제도하는 데 목적을 둔 불교라고 알려졌다. 말 그대로 많은 사람을 계몽하기 위한 종교라는 뜻이다. 그래서 불교 중에서도 대중에 가장 가깝지 않을까 생각한다. 그런데 이렇게 생각해 보자. 누가 누구를 제도 또는 계몽할 수 있을까? 제도 또는 계몽할 수… 더 보기 »허울뿐인 대승불교라는 이름
해탈 후 부처가 된 석가모니는 팔만이 넘는 설법을 했다고 알려져 있다. 그리고 그 설법을 팔만대장경에 담았다고 한다. 대장경을 새긴 기술과 노력에는 당시 장인의 피와 땀이 담겨 있음에는 사실이다. 하지만 그 안에 적힌 석가모니의 설법 자체가 가진 가치는 뭘까? 석가모니가 시작했다는… 더 보기 »팔만대장경 속의 석가모니 설법, 개나 주자!
PonderEd에서 분류하는 두뇌와 두뇌 사용 단계별 정리 인간의 두뇌는 동물적 두뇌, 제 1형 인간의 두뇌, 제 2형 인간의 두뇌의 세 가지 형태로 나뉜다. 동물적 두뇌의 두 단계 1 단계. 감정적으로 온탕냉탕을 오가는 단계 (동물적 두뇌 수준): 생각의 과정이 빠져 동물과 다르지… 더 보기 »PonderEd에서 분류하는 두뇌와 두뇌 사용 단계별 정리
강에서 연어 낚시를 하며 실력이 늘어나다 보면 재미있는 변화가 생긴다. 처음 낚시할 때에는 고기의 움직임 통제가 어려워 목줄을 강하게 써서 반 강제로 끌어낸다. 그러다 조금씩 실력이 늘면서 목줄의 강도가 점점 약해진다. 이렇게 목줄이 약해지면서부터는 진짜 실력이 드러난다. 실력이 부족한 사람은… 더 보기 »낚시바늘을 문 연어의 저항
싸움에도 종류가 있지만, 가장 원초적인 싸움의 원인은 상대의 선택을 무시하는 경우다. 짜장면과 짬뽕 중에 선택을 할 때, 자기가 좋아하는 걸 선택하면 되는데, 내가 좋아 선택한 걸 상대가 무시하면 갈등이 생기고 심하면 증오로도 이어진다. 왜 그럴까? 선택은 동물적 본능이기 때문이다. 좋다는… 더 보기 »싸움이 벌어지는 이유
자폐 아이가 거칠게 행동하는 경우가 있다. 다른 사람을 갑자기 잡아당기거나, 여기저기 돌아다니며 자기가 원하는 걸 얻고자 돌발 행동을 하는 경우, 병원에서 진료할 때 온몸으로 저항하며, 때로는 집안 곳곳을 돌아다니며 로션을 바르는 등의 행동이 여기에 해당한다. 일반적으로 이런 행동을 문제적 행동으로 보고 고치려 훈육한다. 하지만 일반아이라면 모를까… 더 보기 »자폐 아이의 거친 행동, 왜? 그리고 어떻게